병/의원 방문 시 신분증 지참 - 모바일 신분증
병/의원 방문 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는 제도에 대하여 공유드리겠습니다. 2024년 5월 20일부터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가 시행되었습니다. 그동안 건강보험 적용 시 별도 본인 확인 절차 없이 주민등록번호 등을 등록 후 진료를 진행해 왔는데, 이로 인해 타인의 명의를 도용하여 무자격자가 건강보험 급여를 받거나 향정신성 의약품 등을 처방받는 등의 악용 사례가 발생하여 이러한 제도가 시행되었습니다. 신분증 등이 없이 병/의원에 방문하게 되면 건강 보험 진료를 받지 못하여 전액 본인 부담해야 하니 아래 본문 내용을 참고하여 병/의원에 방문하시면 되겠습니다.
본인 확인 가능 수단
본인 확인 예외 사유가 아닌 분들의 경우에는 병/의원 방문 시 실물 신분증 등을 가져가야만 병/의원에서 건강 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. 신분증 외에 여러 가지 본인 확인이 가능한 수단들에 대하여 아래에 공유드리겠습니다.
1. 신분증
- 행정/공공 기관이 발행한 증명서나 서류. 사진과 주민 등록번호가 포함된 것
- ex) 건강보험증,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, 국가보훈등록증, 장애인등록증, 외국인등록증, 국내거소신고증, 영주증 등
2. 전자 서명 인증서
- 공동인증서, 금융인증서, 디지털 원패스, 간편 인증(PASS, 네이버, 카카오 인증서, 삼성페이) 등
3. 본인 확인 서비스
- 통신사, 신용카드사, 은행 등
4. 전자신분증
- 모바일 건강보험증, 모바일 운전면허증, 주민등록증 확인서비스(PASS) 등
이때, 원본 증명서만 인정되며 위 수단들을 캡처하거나 사진으로 제시하는 경우와 각종 자격증 등은 전자 신분증이 아니기에 본인 확인 수단으로 사용이 불가합니다.
본인 확인 예외 사유
병/의원 방문 시, 본인 확인이 예외 되는 사유에 대해 공유드리겠습니다.
- 만 19세 미만 미성년자
- 재진- 해당 병원에서 본인 여부 및 자격 확인한 날로부터 6개월 이내 진료 시
- 처방약 조제- 의사 등 처방전에 따라 약국 약제를 지급하는 경우
- 진료 의뢰나 회송받는 경우
- 응급환자
- 기타- 거동 불편자 등
모바일 건강 보험증
병/의원 방문 시 본인 확인을 해야 하는 상황에 실물 신분증 등이 없을 경우,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으로 본인 확인이 가능합니다. 모바일 건강 보험증으로 본인 확인 하는 방법에 대하여 공유드리겠습니다.
- 앱스토어에서 '모바일 건강보험증' 검색
- 개인 선택
- 언어 한국어 선택 후 확인
- 앱에 대한 기능 접근 권한 확인
- 서비스 이용 정보 수집 약관 동의
- 휴대폰 혹은 금융인증서 인증
- 비밀번호 설정
- 메인 화면에서 오른쪽 페이지의 QR제출하기 클릭 후 본인 확인
법적 처벌
2024년 5월 20일부터 시행되는 건강보험 본인 확인 제도는 본인 확인을 하지 않은 요양기관에 대해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되며, 건강 보험 자격을 부정하게 사용하는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처해질 수 있습니다.
▼ 건강보험 본인확인 제도-국민건강보험공단 누리집 바로가기 ▼
오늘은 병/의원 방문 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하는 제도에 대하여 공유드렸습니다. 건강 보험 본인 확인 제도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누리집 등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혼부부 가전 추천-로보락 로봇청소기 (0) | 2024.06.17 |
---|---|
변경된 OTT 요금제 정리 및 할인 방법-유튜브,넷플릭스,티빙,웨이브 (0) | 2024.05.23 |
권은비 스파알 마사지기 추천 및 초특가 할인 이벤트 (2) | 2024.05.14 |
초간단 술 안주 레시피 추천/ 만두강정 (0) | 2024.05.13 |
초간단 술안주 레시피 추천 BEST 2 - 칵테일 새우 사용 (0) | 2024.05.13 |
댓글